반응형
연산자
수학(math)에서의 연산자와 매우 비슷
수학에서 쓰는 기호 전체를 사용할수 없기 때문에
60~70년대 키보드에 있었던 것을 차용해서 만듬
- + 더하기
- - 빼기
- * 곱하기
- / 나누기
- ** 제곱
- % 나머지
- // 몫
연산자의 계산순서
- + 나 - 가 아닌 다른 연산자를 먼저 계산후 연산.
- 두 연산(+,-)을 제외한 연산이 두개 이상 있을경우 먼저 등장하는 순서로 계산.
- 괄호 안의 연산을 먼저 수행.
계산 우선순위
1 + (2 ** 3)/ 4 * 5
1 + (8 / 4) * 5
1 + (2 * 5)
1 + 10
11
- 괄호
- 제곱
- 곱하기, 나누기 연산
- 더하기, 빼기 연산
-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진행
타입
Python의 기본 데이터 타입은
- str(문자열)
- int(정수형)
- float(부동소수점)
등이 있음.
타입을 확인하는법
type(확인할것) 이와 같이 나타낼수 있다.
# 예시 #
a = '안녕'
b = 123
c = 33.3
type(a) # <class 'str'>
type(b) # <class 'int'>
type(c) # <class 'float'>
type('고마워') # <class 'str'>
type(321) # <class 'int'>
type(22.22) # <class 'float'>
타입을 변경하는법
변경하려는 타입을 전달인자로 두고 변경할 타입을 호출
# 예시 #
a = 123
type(a) # <class 'int'>
b = float(a)
type(b) # <class 'float'>
type(str(a)) # <class 'str'>
input함수
input(문자열) 의 꼴로 사용되며 '문자열'을 돌려준다.
주로 사용하는 형태는 a = input('insert a value : ')
와 같은 형태가 될수 있으며 이때에 type(a)는 <class 'str'>이다.
반응형
'Python > Python_Learn | 파이썬 기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조건부 실행 (흐름제어) (0) | 2020.05.21 |
---|---|
상수,변수 (0) | 2020.05.21 |
순차문, 조건문, 반복문 (0) | 2020.05.19 |
배우기 앞서서 (0) | 2020.05.19 |
댓글